소비자정보·몸에좋은식품 123

[안심먹거리] 참기름은 오래두어도 상하지 않을까?

우리의 식단에서 참기름을 빼놓는다면 밋밋한 맛의 음식들이 많아질 것입니다. 육류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찰음식의 경우 식물성 재료들만을 사용하여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식단에 참기름 한 방울을 첨가함으로써 감칠맛을 더해주기도 합니다. 어떤 학자는 옛날 사람들이 한두 해 걸러 찾아오는 흉..

[안심먹거리]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면 살이 찌는가?

밀가루로 만든 음식이 밥보다 더 살찌게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그것은 오해입니다. 밥보다 빵이 살찐다던데... 밀가루와 쌀의 칼로리는 100 g 당 350~370 kcal 정도로 거의 비슷합니다. 하지만 다이어트를 할 때는 밀가루로 만든 빵이나 과자보다는 밥을 먹으라고 ..

[안심먹거리] 레드와인은 심장병을 예방할까?

분류 null 내용 1819년, 새뮤얼 블랙이라는 아일랜드 의사는 프랑스인들이 고기와 크림, 버터, 치즈라면 사족을 못 쓴느데도 오히려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심장병에 덜 걸리는 사실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프렌치 패러독스(French Paradox)'라고 일컫는 이러한 경향은 ’와인이 건강에 좋다‘라는 상식에 바..

[안심먹거리] 식품의 유통기한을 꼭 지켜주세요.

식품위생법 위반사항 중 가장 많이 적발되고, 신문 및 방송을 통해 소비자가 쉽게 접하고 우려하는 것 중 하나가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판매하거나, 조리에 사용하거나, 유통기한을 변조하는 행우입니다. 이것이 식품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전보다..

[안심먹거리] 열대 과일은 왜 냉장고에 넣지 않나?

뜨거운 여름, 냉장고에 차게 보관했다가 먹는 수박의 맛은 정말 일품입니다. 더운 여름엔 유난히 시원한 과일이 많이 생각나게 됩니다. 보통 대부분의 과일은 반드시 차게 해서 먹는다는 것이 원칙입니다. 과일을 차게 해서 먹으면 맛이 훨씬 달라지며, 단맛이 온도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입니다. 과일..

[해장술의 실체] 가장 확실한 숙취 예방법은 적당한 음주습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술은 애용되다 못해 남용되어 온 약물이라고도 합니다. 그만큼 지난밤 ‘부어라, 마셔라’의 알코올 사랑으로 다음날 몸을 가누기 힘들고, 심지어는 간밤의 기억들까지 모조리 잃어버린 경험은 대부분의 사람이 한번쯤은 겪어 보았을 것입니다. 술의 주된 성분인 알코올은 1g당 7..

만병의 근원 비만 - 영양결핍 없는 식사량 감소와 유산소 운동 유지해야...

전세계 성인의 7%가 해당 선진국선 5대 질병 선진국들은 비만은 5대 질병 중 하나로 꼽고 있는데 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성인 인구의 7%에 달한다. 비만은 단기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 비만 판정은 어떻게 하나? 비만 판정은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

고기! 맛있게 구워먹는 법은 따로 있다.

같은 쇠고기도 어떻게 썰고 구워야 하느냐에 따라 ‘맛이 천양지차(天壤之差)’ 고기는 센불에서 구워야 일반적으로 세균은 고기 조직 안에는 없고 표면에만 존재한다. 그래서 쇠고기는 겉만 확실히 익으면 속까지 다 익혀 먹지 않아도 괜찮다. 속까지 완전히 익히지 않은 미디움, 레어 스테이크가 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