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안전

[스크랩] 건강한 휴가를 보내고 싶다면, 이것부터 챙기세요~

깔금이 2012. 7. 31. 20:26

- 여름 휴가철 꼭 알아야 할 식ㆍ의약품 사용 주의사항!! -

 

 

산으로~ 바다로~ 휴가를 맞아 본격적으로 떠나시는 분들 많으시죠?
휴가 떠나기 전 잊으신 건 없으신지 확인하셨나요?
안전하고 건강한 휴가를 보내기 위해 우리가 챙겨야 할 식ㆍ의약품 안전 사용요령을 알아보았습니다. 여름 휴가철 꼭 알아야 하는 식․의약품 사용 안전요령을 숙지하고 즐거운 휴가되세요~

 

 

# 피서지 식중독 예방은 올바른 식재료 준비부터!

 

 

최근 캠핑 이용이 증가하면서 피서지 야외에서 음식을 직접 조리,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마철 높아진 온도와 습도로 인해 식중독 발생 우려가 높아진 만큼 식재료 준비부터 조리, 섭취까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식재료 준비할 땐 김밥 등의 도시락은 가급적 피하고, 식재료는 아이스박스를 이용해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생야채는 고기나 생선 육즙과 닿지 않도록 분리 보관합니다. 고기를 구울 때는 고기 내부의 선홍색이 없어질 때까지 충분히 익히고(85℃ 1분 이상 가열), 어패류는 수돗물로 2-3회 세척하여 손질하며 내장, 아가미는 제거하고 조리해야 합니다. 음식을 섭취할 때는 조리한 식품은 실온에서는 가능한 2시간 이내에 섭취하고 생선회는 4시간 이내에 모두 섭취하며, 지하수나 샘물은 끓여서 먹고, 산에서 독버섯이나 설익은 과일 등 야생식물은 채취나 섭취를 자제합니다.

 

특히 캠핑장에서 고기를 숯불에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가급적이면 들이마시지 않도록 하고, 탄 부위는 제거 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반적으로 번개탄, 열탄 등에는 참숯보다 중금속 함량이 많으므로 가급적이면 참숯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요리할 고기는 지방을 제거해 기름이 숯에 떨어져 연기나 불이나지 않도록 유의하며,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조리하고 일단 조리가 시작되면 가능한 불판과 떨어져서 연기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휴가철 여행용 상비약은 꼭 챙기세요~

 

휴가철 챙겨야 할 여행용 상비약은 10여가지 정도로 여행용 상비약을 챙길때 제품 설명서에 기재된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숙지하며, 고혈압․당뇨․천식과 같은 만성질환자는 복용 중단 시 질환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여행지 출발 전에 의사 또는 약사 상담을 통해 필요량을 준비해야 합니다.

 

※ 여행용 상비약 10가지 : 1.해열, 진통, 소염제 2.지사제․소화제 3.종합감기약 4.살균소독제 5.상처 연고 6.모기 기피제 7.멀미약 8.일회용 밴드 9.고혈압, 천식약 등 평소 복용 약 10.소아용 지사제․해열제

 

 

해열․진통제는 매일 세잔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은 아세트아미노펜 등 해열진통제 복용 시에는 간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고, 12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여행지에서 물이 바뀌어 급성 설사, 소화 불량으로 배가 아픈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지사제․소화제를 준비하고, 어른 지도하에 용법․용량을 지켜 투약하도록 합니다. 또, 넘어지거나 긁히는 외상이 발생하면 살균소독제와 연고로 상처를 소독․도포해 추가 감염을 막는 것이 중요하나, 만약 연고 사용으로 인한 발진 등 과민 반응이 나타날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합니다.

 

특히, 상비약을 원래 용기에서 덜어 다른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은 오인․혼동으로 인한 사고 발생이나 품질 저하 원인이 되므로 가급적 삼가야 하며, 또한 해외여행 시 말라리아 등 풍토병 발생 지역 여행자는 미리 예방접종을 받고, 만성질환용약 복용자는 해당 여행국가 반입 허용량 이내로만 소지해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성질환용 복용자는 영문 처방전을 사전에 준비하면 현지에서 해당 약품 구매 시 도움이 되며, 여행국 질병 정보는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http://travelinfo.cdc.go.kr) 확인 가능합니다.

 

 

# 모기기피제는 어린이 손, 눈, 입에는 바르지 마세요!

 

피서지에서 많이 사용하는 모기기피제는 단시간 야외활동에는 낮은 농도 제품을 선택해 필요시 반복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또는 장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피부나 옷 위에 사용 가능하지만 옷 안쪽 부위에는 사용하지 말고, 옷이나 양말 등에 뿌린 경우에는 다시 입기 전에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 또, 눈이나 입 또는 상처부위, 햇볕에 탄 부위에는 바르지 말고, 특히 어린이가 사용할 경우에는 어른 손에 묻혔다가 발라주며 어린이 손, 눈, 입 주위에 바르지 않도록 하며, 외출에서 돌아오면 모기기피제를 발랐던 부위를 물과 비누로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벌레에 물렸을 때는 상처주위를 깨끗이 씻은 후 외용 연고제 등을 바르도록 하며, 가렵다고 긁거나 침을 바르면 오히려 이차 감염을 일으켜 상처가 덧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벌레에 물리지 않기 위해서는 방충망을 이용하거나 긴팔, 긴바지를 입고 모자를 착용하여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 하길 바랍니다.

 

 

#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 보청기 사용 주의하세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물놀이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구염증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어 가급적 콘택트렌즈 대신 시력보정 물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에는 사용 후에는 반드시 의약외품으로 식약청 허가를 받은 생리식염수, 렌즈세척액, 보존액만을 사용하여 세척, 살균, 소독을 철저히 해 보관용기에 넣어 관리하도록 합니다.

 

보청기 착용자의 경우 수영 등 물놀이 시설 이용 시에는 반드시 보청기를 빼도록 하며, 선탠로션 등 기름기가 많은 화장품을 손으로 바른 후 보청기를 만지면 보청기가 귀에서 쉽게 빠지거나 기름성분이 스며들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보청기는 여름철 땀이나 장마철 습기로 인해 고장날수 있으므로 사용 후에는 먼지나 귀지 등을 털어내고 전용케이스에 보관해 습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올바른 식․의약품 안전 요령 숙지하시고
모두 건강한 휴가 보내세요~

이상 식약지킴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공식블로그 `식약지킴이`
글쓴이 : 식약지킴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