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채식주의를 다이어트로 이용하려는 자세에 대해 비판한 기사가 기억에 남아요. 이효리 사진을 게재했는데 그날 식약청 블로그 방문자수가 폭발적이었어요. '채식주의'에 대해 편향적인 시각으로 써서 공격도 많이 당했습니다.2. 아무래도 마감에 너무 촉박해서 기사를 올렸던 점이 아쉬웠습니다. 이 습관 고쳐야 되는데, 다음 달부터 고쳐보려 해요.
3. 식약청은 국가기관이잖아요. 그냥 단순 개인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과 식약청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은 부담감이 천지 차이에요. 당연히 '의무감' 과 '자부심' 이 생기죠.
4. 정작 식약청과 저희 사이에 가교가 많이 필요했었을 것 같아요. 유독 이번 활동 때 식약청 자체행사 초대가 없었어요. 그 대목이 아쉬웠어요.
1. 웹툰으로 기사를 작성했어요. 처음에는 그다지 큰 고민을 하지 않고 재미만 생각했기 때문에 스스로 즐겼습니다. 지금은 캐릭터나 그림이 정돈되지 않아 감춰버리고 싶어요.
2. 식약청은 제게 첫사랑 같은 곳입니다. 첫사랑은 무모하고 어설프고 의욕만 앞서면서도 가장 잊을 수 없는 것이 아닐까요?
3. 가족적인 분위기로 친목이 넘치는 기획모임을 갖게 되며 기사 작성과 관련된 실질적인 조언이나 아이디어도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블로그 활동을 하는 분들이라면 보다 짜임새있는 글쓰기를 위한 "서바이벌 트레이닝" 을 받을 수 있어요.
4. 식약청만큼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정부부처가 없다는 걸 느껴요. 식약청 홈페이지를 잘 활용하면 꼭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됐지요. 긍정적이고 친근한 면이 부각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1. 약학을 전공하고 한약학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처음부터 한의약과 의약 쪽 이야기를 많이 해보고자 했습니다. 특히 한의학박람회를 직접 가서 현대의학과 한의학의 접목 부분을 눈으로 확인하기도 했지요.
2. 많은 사람들에게 식약청의 일을 쉬운 정보로 알리는 일을 할 수 있었다는 점이 좋았어요. 건강과 식품에 대한 궁금증을가지고 있는데 이런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데 일조했다는 생각에 뿌듯했었어요.
3. 식약아리아는 성실함과 책임감을 길러주는 하나의 '끈' 이에요. 재미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제 글을 본다고 생각하면 많은 책임감이 따르기 때문에 글을 쓸 때보다 신중해지게 돼요.
4. 식약청은 국민과 소통을 하고 보다 더 나은 안전한 먹을거리와 의약품의 정보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봐요. 두터운 신뢰를 쌓으려면 정확한 정보와 함께 불량품에 대한 처리와 애매한 품질에 대한 규격화에 힘썼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1. '우주인 이소연이 먹은 우주식품,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와 '배부른 아이와 굶주리는 아이' 에 대한 기사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우주식품에 대해 조사할 때는 직접 한국원자력연구소에 연락을 해서 다양한 정보를 얻기도 하고, 관련 자료들도 열심히 찾았던 기억이 납니다.
2. 기자들끼리의 소통이 아쉬웠어요. 서로의 아이템을 평가해주고, 다양한 정보도 공유하면 더 훌륭한 기사가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3.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기사의 기능이지만, 사실은 기사를 준비하면서 저희가 더 많이 배우고 성장해요. 단순히 스펙의 개념으로 접근하지 마시고, 성장을 위한 도약대라고 생각하면서 임하신다면 큰 열매를 맺게 되리라 생각해요.
4. 매달 새로운 아이템을 구상할 때마다 식약청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범위가 광대하다는 것을 느꼈어요. 그런데 일반 대중은 매스컴을 통해서만 식약청에 대한 소식을 접하게 되고, 그마저도 부정적인 소식이 대부분이죠. 이런 부정적인 시각을 개선하기 위해선 시민들과 소통하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본 기사는 '소비자를 위한 열린마루 2011 (11+12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웹진의 다양한 기사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식약청 웹진 ‘열린마루’ 를 찾아주세요!
(웹진보러가기 : http://www.kfda.go.kr/webzine/201111/11nov/ibook43.html)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생활속의KF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손발이 차가운 겨울, 이렇게 하세요! (0) | 2012.01.25 |
---|---|
[스크랩] [역사속의 식약] 설날 대표음식 떡국의 유래 (0) | 2012.01.25 |
[스크랩] 콘돔,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0) | 2012.01.02 |
[스크랩]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한약재 정책 (0) | 2012.01.02 |
[스크랩] 미국산 캔털루프 멜론 식중독 주의! (0) | 201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