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안전

[스크랩] 우리집 식탁 속 잔류농약, 안전할까?

깔금이 2011. 11. 28. 13:00

- 대표 식재료 조리 시 농약 잔류 안심! -

 

그동안 식약청에서는 과일이나 채소의 잔류농약 검사 결과를 여러분께 알려드리곤 했었는데요. 이번에는 그 폭을 넓혀 섭취 직전의 원재료와 가공재료를 이용한 표준 조리 이후의 잔류농약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집 식탁에 올라오는 음식들의 잔류농약은 어느 정도일까? 과연 안전하기는 할까?

 

# 총 102종 식품 대상, 농약 잔류 사례 없어~

 

<대표식품 102종>

선정기준 다소비   다빈도 연령별  잔류농약 
건수 82종  2종
(깨, 후추) 
1종
(조제분유 1~2세)
17종

 

식약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실시한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 음식조리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볶음, 찜, 데침, 끓임 등을 이용해 식탁에 올리는 대표 식자재 102종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국민들이 가정에서 실제로 섭취하는 밥, 국, 반찬 등의 원재료 및 가공재료를 사용하여 98종의 잔류농약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쌀밥을 비롯한 대부분의 식품에서 농약이 잔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조리 없이 그대로 섭취하는 고추 등의 일부 농산물에서 기준이하의 잔류농약이 검출됐는데, 이는 기준치의 1/50~1/5수준으로 이들에 대한 위해평가를 실시해보니, 잔류농약이 우리 국민들이 실제 섭취하는 음식을 통해 노출되는 량은 일일섭취허용량(ADI) 대비 0.0029~0.00221%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첨부> 잔류농약 분석결과

 식품 조리법 농약 기준*
(mg/kg) 
결과값
(mg/kg)
 비고
(결과값/기준)
고추 그대로  아족시스트로빈 2.0 0.1 1/20
 고춧가루  그대로   메타락실  1.0 0.2 1/5
 들깻잎  그대로   디에토펜카브  5.0 0.1 1/50
 미나리  그대로  클로르훼나피르   1.0 0.1 1/10

* 기준 : 원료 농산물 기준 적용

 

 

이번 검사 결과, 대표 식자재를 가지고 표준 조리 했을 때,

농약 잔류에 대한 걱정은 안하셔도 될 것 같네요~ ^^

향후 식약청에서는 수입 및 국내산 구분, 지역 및 산지별 구분, 검사 대상 식자재의 확대 등을 통해 종합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상 식약지킴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식약지킴이
글쓴이 : 식약지킴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