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당 섭취량이 최근 3년간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밥과 반찬 등 주식을 통한 당 섭취량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식생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최근 3년간(2008년~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외식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우리 국민의 당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조사 방법은 최근 3년간(2008년~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외식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국민 당 섭취량 ▲가공식품 종류에 따른 당 섭취 기여도 ▲연령별, 성별에 따른 당 섭취 패턴 등을 통계 분석한 것이다.
<주식보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 비중 높아져 총 당 섭취량 증가>
2010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당 섭취량은 61.4g으로 2008년 49.9g에 비해 2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2010년 당 섭취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식을 통한 당 섭취량은 지난 3년간 큰 변화가 없었지만,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전체 섭취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주식을 통한 당 섭취량은 2008년 13.6g에서 2010년 14.2g으로 늘어 0.6g(4%)이 증가한 반면,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은 2008년 19.3g에서 2010년 27.3g으로 8g(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당 섭취량 중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차지하는 비율도 ‘08년 38.6%, ’09년 38.7%, ‘10년 44.4%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대에서 당 섭취량 증가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많아>
모든 연령대에서 당 섭취량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당 섭취량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만 30세~49세(중?장년층, 66.7g)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만 12세~18세(중·고등학생, 66.2g) ▲만 19세~29세(대학생 및 청년, 65.7g)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등학생의 당 섭취량이 초등학생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부모 등 보살핌을 받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고 학교, 학원 등 외부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당 섭취량이 높은 연령대(만 12세~49세)의 경우 노년층이나 영·유아 등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2010년 남성(63.7g)이 여성(59.1g)보다 당 섭취량이 8%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당 섭취량이 가공식품과 주식으로부터 각각 4.9g, 3g의 당을 더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 섭취량에 커피가 가장 큰 영향 미치고, 연령대별 기여 식품 달라>
우리 국민 당 섭취량에 가장 크게 기여한 가공식품은 커피류(8.9g, 3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음료류(5.8g, 21%) ▲과자 및 빵류(4.2g, 16%) ▲탄산음료(3.7g, 14%) ▲가공우유 등 유제품(2.1g, 8%) 등의 순이었다.
커피의 경우 만 12세부터 섭취량이 증가하여 만 30세~49세에는 가공식품 당 섭취의 약 46%(13.7g)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대별로 당 섭취량에 기여하는 가공식품 유형도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 5세 이하의 경우 주요 당 급원 식품은 ▲음료류(5.1g, 27%) ▲가공우유 등 유제품(4.8g, 26%) ▲과자 및 빵류(4.1g, 22%) 순으로 나타났고, 만 6세~11세 이하의 경우 주요 당 급원 식품은 ▲음료류(6.1g, 25.1%) ▲과자 및 빵류(6.0g, 24.6%) ▲빙과류(4.8g, 19.6%) 순으로 나타났다.
만 12세~18세에 탄산음료 섭취 비중이 많이 증가한 결과, 주요 당 급원 식품으로 탄산음료(8.7g, 25%)가 가장 높았고, ▲과자 및 빵류(8.3g, 24%) ▲음료류(6.5g, 19%)순으로 나타났으며, 만 19세~29세의 주요 당 급원 식품은 ▲탄산음료(8.8g, 26%) ▲음료류(8.3g, 24%) ▲커피류(6.5g, 19%)순이었다.
만 30세 이상의 경우 주요 당 급원 식품은 ▲커피류(11.4g, 51%), ▲음료류(4.5g, 19%) ▲과자 및 빵류(2.7g, 11%)로 커피류를 통한 당 섭취가 다른 식품에 비해 훨씬 높았다.
<우리 국민의 당 섭취량, WHO 당 섭취 권고량보다 낮아>
2010년 우리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과일, 우유 제외)은 WHO(세계보건기구) 당 섭취 권고량의 59%~87%로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2008년 이후 당 섭취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증가 추세로는 당 섭취량이 높은 연령대인 만 12세~49세의 경우 5년 내에 WHO 권고량을 초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만 6세~18세 초·중·고등학생의 최근 3년간 당 섭취량의 증가 추세는 초·중·고등학생 비만율 증가와 상당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약청은 "비만 어린이와 청소년 중 상당수가 성인 비만환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당 과잉 섭취는 당뇨병이나 심혈관계질환 등 성인병 이환율을 높이는 만큼 당을 적게 먹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강조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민의 당 섭취를 줄이도록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당 저감화 대책을 마련하여 학계, 소비자단체, 산업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당류 저감화 캠페인 등을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식약청은 "영양표시 중 당류를 확인하고 당이 적은 식품을 선택하고, 더운 여름철을 맞이해 갈증 해소를 위해 음료류나 빙과류 등을 자주 섭취하는 것 보다 생수를 마시는 등 단 식품의 과다 섭취에 주의해줄 것"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