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내가 마시는 커피, 어디에서 수입됐을까?
- 식약청, 커피 수입 현황 분석 결과 발표 -
커피는 우리 생활에서 식사만큼이나 중요한 식품이 되어 버렸는데요.
정작 우리가 마시는 커피가 어디에서 수입됐는지는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마침, 식약청에서는 커피 수입 현황을 분석해 보았는데요. 의외로 베트남산 커피가 많다고 하네요~
# 국내 수입 커피 중 베트남산이 가장 많아!
식약청에서는 우리 국민이 즐겨 찾는 기호식품인 커피의 지난 11년간 수입 현황을 분석해봤습니다.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수입된 커피 현황을 살펴보면, 총 83개국에서 수입됐으며, 베트남산이 전체 38%로 가장 많고 그 뒤를 브라질(15%), 콜롬비아(11%)가 차지해 이들 3개국에서의 수입이 전체 커피 물량의 64%로 나타났습니다.
커피 수입량은 2001년 79,526톤에서 지난해에는 123,029톤으로 1..6배 증가했으며, 금액기준으로는 2001년 8천만달러에서 2011년 6억6천8백만달러로 8배나 증가했습니다. 이는 원두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입 물량 상승폭에 비해 커피 수입 가격 상승폭이 훨씬 큰 것으로 풀이됩니다.
# 커피, 대부분 원두 형태로 수입!
커피는 원두와 가공커피가 있는데, 국내 커피 물량의 대부분이 88%가 원두 형태로 수입되고, 일부 볶은커피 등 가공커피 형태로는 12% 정도 수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두는 주로 동남아시아와 남미 지역에서, 가공커피의 경우 미국, 이탈리아 등 주요 커피생산지 이외의 국가에서 수입되고 있습니다.
☞ 세계 커피 생산국 순위(2010년 기준) ▲ 브라질(2,874,310톤) ▲ 베트남(1,105,700톤) ▲ 인도네시아(801,000톤) ▲ 콜롬비아(514,128톤) ▲ 인도(289,600톤) |
원두 수입량은 2001년 76,757톤에서 2011년 108,918톤으로 1.4배, 2001년 6천2백만달러에서 2011년 4억1천2백만달러 금액 기주으로 6.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두 수입량 증가는 국내 커피 전문점 증가 및 국내 가공 수요 증가 등이 원인으로 풀이됩니다.
볶은 커피 등 가공커피 수입량도 2001년 2,769톤에서 2011년 14,110톤으로 5배로 늘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2001년 1천5백만달러에서 2011년 1억7천9백만달러로 1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스턴트커피 29,276(35%) ▲액상커피 26,016(31%) ▲볶은커피 24,329(29%) ▲조제커피 4,273(5%)순으로 차지했습니다. 주요 가공커피 수입국은 지난 11년간 ▲미국 27,714톤(33%) ▲브라질13,290톤(16%) ▲일본8,378톤(10%) ▲이집트5,410톤(6%) ▲이탈리아4,752톤(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 2011년 원두 수입량 기준으로 우리 국민의 하루 커피 소비량은 약 300톤으로 경제활동인구가 하루에 커피 한잔반을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1일 카페인 권장량이 400mg이므로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즐겨 먹는 커피, 적당히가 가장 중요하다는 거 아시겠죠??^^
이상 식약지킴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