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의KFDA

[스크랩] 감기약 먹고 운전하지 마세요!

깔금이 2012. 3. 26. 16:29

 

호흡기 질환의 대표 감기!

 

호흡기 대표 질환인 감기는 주로 바이러스 때문에 코와 인두(목구멍 근처) 등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누구에게나 잘 걸리는 흔한 것으로 간단하고 가벼운 병이라고 생각되지만 원인은 다양하다.
감기는 주로 바이러스 때문에 생기지만,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는다고 모두 감기에 걸리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발병과정에서 바이러스의 감염뿐 아니라 침범한 바이러스에 대한 사람의 방어력이나 급격한 체온변화, 체력소모 등이 관여하게 된다.
감기에 걸리면 콧물, 코막힘, 재채기, 인후통, 기침, 가래,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드물게는 설사가 동반되기도 한다. 그리고 중이염, 기관지염, 폐렴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하며 기침만 주로 호소하는 것이 다 감기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감기약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감기약을 복용할 수 있다. 열이 날때는 열을 내리도록 도와주는 약(해열진통제)을, 콧물이 나면 나지 않도록, 기침을 하면 기침을 줄여주고(진해제), 가래가 생기는 경우는 가래를 없애도록 도와주는 약(거담제)을 복용한다. 콧물, 코막힘, 재채기, 인후통, 기침, 가래,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 근육통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그 증상을 완화시키는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기도 하는데 이를‘종합 감기약’ 이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감기처럼 보이나 천식이나 기관지염, 폐렴, 축농증인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감기약은 어떻게 복용하나?

 

감기약은 보통 1일 3회 식후 30분에 복용하며, 시럽제는 매 식후 및 필요한 경우는 취침 시에 복용하며 복용간격은 보통 4시간으로 한다. 여러 차례 복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는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 약사와 상의해야 하며 장기간 계속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캡슐제 및 정제(알약)는 7세 이하의 영·유아는 복용하지 않으며 어린이에게 먹일 경우는 보호자가 지도·감독해야 한다.

 


감기약 먹고 운전하지 마세요!!

 

재채기 완화 성분인 항히스타민 등이 들어 있거나 해열진통제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과 아스피린 등이 들어 있는 감기약은 각 성분마다 복용 시 주의사항이 다르므로 유의해야 한다. 코막힘, 기침증상 완화 성분인 에페드린 함유 감기약을 복용하면서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드링크제를 많이 마시면 카페인 과잉 상태가 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다리에 힘이 없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아세트아미노펜 및 아스피린 성분 감기약의 경우 매일 세 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거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콧물, 재채기 등의 감기 증상에 복용하는 '히스타민 억제제(항히스타민제)' 성분의 감기약은 졸릴 수 있으므로 자동차 운전 등 기계류의 조작을 피해야만 한다. 특히 술과 함께 복용할 경우 졸음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항히스타민 성분' 이 있는 감기약을 복용할 때는 운전대를 잡지 말자!

 

 

 

 

이도한 주무관
대변인실

 

 

- 본 기사는 '소비자를 위한 열린마루 2012 (1+2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웹진의 다양한 기사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식약청 웹진 ‘열린마루’ 를 찾아주세요!
(웹진보러가기 : http://www.kfda.go.kr/webzine/201201/12jan/kfda/ibook13.html)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식약지킴이
글쓴이 : 식약지킴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