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환자 건강상태에 따른 올바른 의약품 정보 제공한다!
- 약물에 따라 주의해야 할 질병 정보집(전문가용) 발간 -
당뇨나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있으신 분,
간이나 신장 기능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떨어지는 분,
이런 분들이 의약품을 복용할 땐
본인에게 맞는 적절한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정 질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약물은 환자별 건강상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부적절한 의약품의 사용은 자칫 위장관 출혈, 저혈압, 급성 신부전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식약청에서는 환자 건강상태에 따른 올바른 의약품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량이 많은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등 165개 의약품 성분에 대한 <약물에 따라 주의해야 할 질병 정보집(전문가용)>을 7월 중 발간합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정보집은 전문가들에게 약물과 질병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약물 사용으로 인한 이상반응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로 조심해야 하는 환자의 약물복용]
1)활동성 소화성 궤양 환자의 경우
진통제로 자주 사용되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면 위장관 점막을 보호하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여 위장관계 출혈 등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2) 중증 간기능 장애 환자의 경우
위장관계 환자에게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진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소염진통제를 과량복용하면 심각한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3)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
발기부전치료제인 실데나필 등을 사용하면 환자에서 혈관 확장 등 심장에 대한 위험 가능성이 증가하므로 이 약물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4) 말초혈관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편두통치료제로 사용되는 ‘수마트립탄’은 말초혈관 내 저항이 증가되어 손발 끝이 저리고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5) 대상포진 등 바이러스 감염증인 환자의 경우
부신피질호르몬인 ‘베클로메타손’은 면역기능 억제작용 등으로 인하여 감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정보집은 의·약 전문가들에게 약물별로 주의해야 하는 질병과 그 사용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을 제시하는 것으로 개인의 임상적 특성에 따라 의약품의 유익성과 위험성 비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은 반드시 의·약사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청 복약정보방: http://medication.kfda.go.kr/main/index.jsp
※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제품별 허가사항 정보: http://ezdrug.kfda.go.kr/kfda2
이상 식약지킴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